본문 바로가기

문화재

호렵도 8폭 병풍(胡獵圖八幅屛風), 조선, 세로 122cm, 가로 318cm 산을 배경으로 호복(胡服)을 착용한 인물들이 짐승을 사냥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 지본채색(紙本彩色). 화폭(세로 78, 가로33). 각 폭마다 표범, 멧돼지, 사슴, 새 등 짐승을 사냥하는 모습, 기를 든 사냥행렬 등이 묘사됨. 화면 주위는 비단으로 장황(裝潢)됨. 관련정보 MEDIA N | 국립민속박물관 더보기
경직도 12폭 병풍(耕織圖 十二幅 屛風), 조선, 세로 137.2cm, 가로 406.8cm 농사짓는 일과 함께 풍속장면이 12달의 시간 흐름에 따라 그려진 12폭 병풍. 면본채색(綿本彩色). 화폭(세로 118, 가로 30.3). 1폭부터 12폭까지 정월 대보름 달맞이, 땅에 거름주기, 논밭갈기, 김매기, 추수 후 탈곡과 방아 찧는 장면 등에 이르는 농사짓는 일과 물레질, 베날기, 씨아질, 베틀질, 옷감널기 등의 옷감짜는 모습을 시간의 추이에 따라 그려짐. 관련정보 MEDIA N | 국립민속박물관 더보기
모란도 병풍(牧丹圖 屛風), 조선, 가로 182.8cm, 세로 263.9cm, 가로(화면) 255.3cm, 세로(화면) 160.0cm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그린 4폭의 화훼도(花卉圖) 병풍이다. 화폭마다 좌측의 하단에는 청록색의 괴석(怪石)과 토파(土坡)를 그려 넣은 다음, 상단의 공간에는 붉은 색과 흰색의 화려한 모란을 그려 넣었다. 그림의 상단은 아무 것도 그려 넣지 않은 빈 공간으로 여백을 주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양식으로 보아 궁중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정보 MEDIA N | 국립고궁박물관 더보기
화조도 병풍(花鳥圖 屛風), 조선, 가로 54.8cm, 세로 168.2cm 종이 바탕에 채색으로 그린 4폭의 화조도(花鳥圖) 병풍이다. 전체적으로는 밝은 색채를 사용하였으며, 각 폭마다 각종의 꽃과 새, 동물을 화면 전체에 그려져 있다. 각 폭마다 하단 한쪽에는 청색과 녹색, 붉은 색의 바위를 놓고 그 위로 쌍을 이루는 새를 표현하였는데, 새는 각 쌍마다 마주보거나 평행구도를 이루는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 사이의 공간은 국화, 매화 등의 화려한 꽃이 핀 나뭇가지를 드리워 표현하였다. 각 폭에 보이는 하늘을 나는 새는 다른 화조화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도식적인 표현이다. 꽃의 표현은 정확한 사실이 아닌 과장이 된 것으로 꽃은 새보다 훨씬 크게 그려졌다. 각 폭의 바위 표현은 사실적인 것이 아니라 장식적으로 채색을 가했다. 제2폭에는 어두운 밤 보름달이 뜬 배경에 백매화꽃이 드.. 더보기
화조도 병풍(花鳥圖屛風), 조선, 가로 54.8cm, 세로 167.3cm 종이 바탕에 채색으로 그린 4폭 화조도(花鳥圖) 병풍이다. 각 폭마다 각종의 꽃과 새, 동물을 화면 전체에 그렸다. 화폭의 하단 한쪽에는 청색과 녹색, 붉은 색의 바위를 놓고 그 위로 쌍을 이루는 새와 동물을 표현하였는데, 각 쌍마다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 사이의 공간은 국화, 매화 등의 화려한 꽃이 핀 나뭇가지를 드리워 표현하였다. 각 폭에 보이는 하늘을 나는 새는 다른 화조화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도식적인 표현이다. 꽃의 표현은 정확한 사실이 아닌 과장이 된 것으로 꽃은 새보다 훨씬 크게 그려졌다. 각 폭의 바위 표현은 사실적인 것이 아니라 장식적으로 채색을 가했다. 제4폭에는 어두운 밤 보름달이 뜬 배경에 백매화꽃이 핀 가지를 표현하고, 아래쪽에는 작은 물줄기가 내려오고 있는 장면을 표현하였다... 더보기
화조도 병풍(花鳥圖 屛風), 조선, 가로 185.2cm, 세로 97.8cm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그린 4폭의 화조도(花鳥圖) 병풍이다. 4폭의 화면은 전체가 하나의 그림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연꽃이 핀 연못에서 노니는 다양한 새와 그 위를 날아다니는 새들이 표현되어 있다. 제1폭과 제2폭의 하단에는 청록색의 바위를 그리고 그 위쪽을 노니는 새들이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는 연꽃이 만개한 연잎과 가지 사이, 연못에서 유유히 노니는 오리 가족들의 모습이 보인다. 제3폭과 제4폭의 하단에는 만개한 연꽃과 터질 듯 꽉 찬 기운을 머금고 있는 연봉우리와 연잎, 가지들을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병풍은 무늬가 있는 청색과 자색 비단을 테두리에 둘렀다. 관련정보 MEDIA N | 국립고궁박물관 더보기
백자도 병풍(百子圖屛風), 조선, 가로 296.2cm, 세로 96.0cm 여러 명의 어린이들이 괴석과 나무, 전각 등을 배경으로 즐겁고 평화롭게 놀이하는 모습을 그린 백자도(百子圖)로 꾸민 6폭 병풍이다. 6폭의 화면은 토파(土坡)나 나무, 건물로 각 두 폭씩 구분되고 이러한 장면 구분에 따라 아이들의 놀이모습을 그려 넣었다. 1·2폭 화면 하단에 커다란 연못이 있다. 화면 하단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넓은 연못은 시선을 그림의 안쪽으로 끌어당긴다. 연꽃이 흐드러진 연못에서 아이들은 물고기를 잡기도 하고, 연꽃 빼앗기 놀이를 하고 있다. 2폭의 왼쪽으로 팔작지붕의 누각에는 두 아이가 있는데, 연꽃을 들고 있는 아이가 연잎 위에 앉아있던 다른 그림과는 달리 연꽃을 구하러 온 아이가 연잎에 앉아있어 도상에 혼란을 빚고 있다. 연못가 아래 버드나무에서 아이들이 풀놀이를 하고 있다. .. 더보기
화성전도(華城全圖), 조선, 전체길이 196cm, 전체너비 37cm, 길이 166cm, 너비 34cm 열두 폭 화면에 우아優雅하고 장엄莊嚴한 면모를 갖춘 화성을 그린 도성도이다. 화성은 팔달산을 주산主山으로 하여 그 산 아래 행궁을 조성하였다.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도시계획원리에 입각해서 정조시대의 이상을 담아 건설되었기 때문에 이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군사적 요충지로 인식되었고, 실학을 바탕으로 그 당시 모든 기술을 집약하여 성곽을 건설하였다. 돌로 성곽城郭을 쌓은 화성은 네 개의 대문과 5개의 암문暗門이 있고, 두 곳의 수문水門이 있다. 대문은 동서남북으로 창룡문, 화서문, 팔달문, 장안문이 있는데, 이 중 장안문과 팔달문은 옹성甕城을 둘렀다. 성곽에는 장대將臺, 공심돈空心墩, 봉돈烽墩, 노대弩臺, 각루角樓, 적대敵臺, 포루.樓 , 포루砲樓, 치성雉城, 포사.舍 등 적의 침입을 방지하는 시설이 확인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