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연·전시·축제

전통공예기술 보유자와 나누는 즐거운 대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김연수)은 오는 25일부터 11월 3일까지 총 4회에 걸쳐 국립무형유산원 누리마루 사랑채(전라북도 전주시)에서 ‘토요공방, <전통공예기술 인간문화재 대담>’을 진행한다.


‘토요공방, <전통공예기술 인간문화재 대담>’은 무형유산 전통기술을 체득하여 전승하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들과 전통기술 분야의 전문가들이 전통기술을 배우고 있는 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을 만나 회차별 주제를 가지고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전통공예 제작기술의 시연도 함께 볼 수 있다.


올해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15호 염색장, 제113호 칠장, 제77호 유기장, 제107호 누비장 보유자가 참여한다. 편안한 분위기를 위해 종목별로 공방의 특징을 담아 대담장소를 꾸몄으며, 각 주제별 장인들이 100분 동안 자신의 인생살이와 전통공예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게 된다.


먼저, 행사 첫날인 5월 25일 열리는 염색장 정관채 보유자의 ▲ <청출어람, 쪽빛을 물들이다>에서는 옛 의복을 아름답게 물들인 염색기술에 대해 이야기한다. 6월 29일에는 ▲ <정제옻칠의 기본, 천연생칠(天然生漆)>에서는 칠장 정수화 보유자의 옻칠 이야기를 들으며 장시간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옻칠의 생생한 현장을 볼 수 있다.


8월 3일에는 ▲ <두드림의 미학, 유기장 이봉주>에서는 94세인 이봉주 명예보유자의 시연을 통해 방짜유기의 작업과정을 눈앞에서 볼 수 있다. 이봉주 명예보유자는 1983년도에 유기장 보유자로 인정받은 후로 현재까지 전승활동을 하고 있는 우리나라 40여 년 유기장 역사의 산 증인이다.


11월 2일에는 ▲ <한겨울의 추위를 견디는 누비옷> 이야기로, 누비장 김해자 보유자와 함께 옛 조상들의 따뜻한 겨울을 책임지던 누비옷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모든 행사는 무료이며, 전통공예에 관심 있는 일반인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참석자에게는 대담 관련 종목과 연계하여 장인이 제작에 참여한 기념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매회 대담 현장을 국립무형유산원 사회관계망서비스(페이스북)에서 실시간으로 방영할 예정으로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이들에게도 참여의 기회를 제공한다.


더 자세한 사항은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과 전화(☎063-280-1656, 1525)로 문의하면 된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이번 행사가 평소 전통공예를 접하기 어려운 일반인들이 전통공예기술 분야 보유자와 스스럼없이 이야기를 나누며 전통공예기술의 실용성과 예술성을 탐색하고 다양한 전통공예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MEDIA N

FEEL SO GOOD | 미디어엔

MediaBridgeNews.Com

MEDIA N은 방송계열 및 일반기업과 관계 없는 한국지식기자협회 위클리뉴스 언론사입니다

공지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