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썸네일형 리스트형 어해도 병풍, 조선 지본채색. 매화 연 등의 꽃, 조개와 다양한 물고기들이 어우러진 그림. 琳田 趙廷奎(1791 - ?)의 작품으로, 화원이었던 임전은 어해도를 잘그렸다. 여덟번째 폭 하단에 낙관이 있음. 8폭 병풍 관련정보 MEDIA N | 국립민속박물관 더보기 책가도 병풍(冊架圖 屛風), 조선, 가로 45.5cm, 세로 206.5cm 책거리도(冊巨里圖)로 꾸민 10폭 병풍으로 비단 바탕에 채색을 하였다. 각 폭마다 다른 기물은 그리지 않고 책으로만 가득 찬 삼단의 책가를 그렸다. 책가의 형태를 살펴보면 1단과 3단이 좌우 두 칸으로 나누어져 있고 2단 위쪽에 장식이 있는 것과 1단과 3단 위쪽에 장식이 있고 2단이 좌우 두 칸으로 나누어진 것이 번갈아 가며 배치되어 있다. 책가 안의 책은 크기나 쌓는 법, 포갑이 있는 책을 배치하여 조금씩 변화를 주었다. 관련정보 MEDIA N | 국립고궁박물관 더보기 병풍, 조선 방 (房)이나 마루 등에 쳐서 바람을 막고 공간을 가리거나 장식하는 도구. 장방형의 10폭 병풍(세로 167, 가로 41.7). 검정색 명주 바탕에 금색 안료를 사용하여 간단한 도형 형태를 그리고 전서, 초서, 예서체로 설명을 달아 꾸밈. 관련정보 MEDIA N | 국립민속박물관 더보기 삼국지도 10폭 병풍(三國志圖 十幅 屛風), 조선, 전체길이 143.0cm, 전체너비 445.0cm, 세로 115.3cm, 가로 40.0cm 삼국지연의도(三國志演義圖)는 일찍이 조선에 유입되어 인기를 얻었는데, 삼국지연의가 가지는 역사인식이 조선의 성리학적 이념과 맞았기 때문이다. 특히 민간신앙으로 관우신앙이 성행하여 전국 곳곳에 관왕묘가 설치될 정도로 삼국지연의가 조선에 미치는 영향은 컸다. 18세기 이후 인쇄술의 발달로 삼국지연의의 상업적 유통이 매우 활발해졌고, 한글로도 번역되어 부녀자들과 어린이들까지 독자의 폭이 넓어지며 축약본이나 편집본이 등장할 정도로 유행하였다. 출간된 책에는 소설 내용의 이해를 돕는 삽화들이 수록되었고, 이를 토대로 19세기 이후 그림으로 제작된 ‘삼국지연의도’라는 화제가 더불어 성행하였다. 당시 한양을 노래한 「한양가漢陽歌」나 유득공柳得恭[1748-1807]의 『경도잡지京都雜誌』 등에 가 등장하여 당시의 인기를.. 더보기 한궁도 병풍(漢宮圖屛風), 조선, 가로 296.4cm, 세로 97.0cm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그린 6폭의 누각산수도(樓閣山水圖) 병풍으로 작가와 제작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궁중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건축물의 형태나 나무의 식생 등으로 보아 현실이 아닌 어딘가 존재하지 않는 상상의 장소를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청록의 산, 토파 등을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사선구도를 이루는 구성은 각 폭이 하나의 장면이 아닌 6폭이 하나의 장면을 이루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그림의 소재와 관련하여서는 고종 연간에 경복궁에 소장되어 있던 19세기 간본(刊本) 가운데 『명수화보(名數畵譜)』에 ‘漢宮圖(한궁도)’ 항목이 있어 관련성이 주목된다. 이는 19세기에 궁중으로 유입된 일본화보와 조선 화단의 영향관계의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횡폭으로 구성된 이.. 더보기 정왜기공도병(征倭紀功圖屛), 조선, 전체높이 174.0cm, 전체너비 381.0cm 관련정보 MEDIA N | 국립중앙박물관 더보기 소수서원,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 소수서원,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 소수서원,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 관련정보 MEDIA N | 문화재청 더보기 조선의 공신 특별전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지병목)은 오랜 세월 동안 가문에서 소중히 간직했던 유물을 기증·기탁해 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담아, ‘기증·기탁 특별전–조선의 공신’ 전시를 28일부터 6월 30일까지 개최한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최근 ‘오자치 초상(보물 제1190호)’을 기증 받은 것을 비롯하여 18여 년 동안 도난당했다가 지난해 되찾은 ‘익안대군 영정(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9호)’을 기탁 받는 등 기증과 기탁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증·기탁 유물 가운데 조선 시대 공신(功臣)과 관련한 문화재를 소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오자치 초상, 익안대군 영정, 이성윤 초상(보물 제1490호) 등 공신에 책록(策錄)되면서 하사받은 초상화를 비롯하여, 마천목 좌명공신 녹권(보물 제1469호), ..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