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 제122호 창덕궁 옥류천(농산정, 태극정, 청의정)
농산정(籠山亭), 창덕궁 후원의 옥류천에 위치한 정자다. 정면 5칸, 측면 1칸 규모의 직사각형 모양이며 두벌장대의 낮은 기단 위에 돌초석을 놓고 사각기둥을 세워 납도리로 엮은 홑처마, 맞배지붕을 올렸다. 대청 2칸, 온돌방 2칸, 부엌 1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1636년(인조 14)에 세워졌으며 임금이 옥류천으로 거동했을 때 다과상을 올렸던 곳으로 보인다. 태극정(太極亭), 창덕궁 후원의 옥류천에 위치한 정자다. 굴다리를 엮은 정, 측면 1칸의 겹처마 사각 지붕 형식을 하고 있으며 내부에 마루를 깔고 퇴를 달아 평난간을 둘렀다. 천정은 우물천정이고, 지붕 꼭대기는 절병통을 얹어 마무리 하였다. 청의정(淸義亭), 창덕궁 후원의 옥류천에 위치한 정자다. 정, 측면 1칸으로 궁궐에서 유일하게 팔각의 초가 지..
더보기
사적 제122호 창덕궁 궐내각사(홍문관, 내의원, 예문관)
홍문관(弘文館), 정면 5칸, 측면 3칸의 전각으로 본래 액호대로 옥당(玉堂)이라 불려야 하지만 궁중의 경서(經書) 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홍문관의 관사였기에 홍문관으로도 불렸다. 내의원(內醫院), 정면 8칸, 측면 5칸의 규모를 한 전각으로 액호는 약방이지만 내의원이 있던 곳으로 궁중의 진료를 담당했다. 예문관(藝文館), 정면 7칸, 측면 5칸의 전각으로 제찬(制撰)과 사명(詞命 : 임금의 말이나 명령)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던 예문관의 관사이지만 각종 의식을 행하고, 외국 사신을 접견하는 향실과도 합쳐진 형태를 하고 있다. 관련정보 MEDIA N | 문화재청
더보기
사적 제122호 창덕궁 궐내각사(규장각, 검서청, 봉모당)
규장각(奎章閣), 내각(內閣)이라고도 하며 정조(正祖)가 즉위한 1776년 궐내(闕內)에 설치, 역대 국왕의 시문, 친필(親筆)의 서화(書畵)·고명(顧命)·유교(遺敎)·선보(璿譜:王世譜)·보감(寶鑑) 등을 보관 관리하던 곳이다. 검서청(檢書廳), 규장각 오른쪽에 위치한 정면 5칸, 측면 2칸의 전각으로 규장각에 둔 관직인 검서관이 사관을 도와 서적의 교정과 서사일을 본 곳으로 역대 임금이 지은 글과 옥새를 보관하고 서적의 수집과 출판을 담당했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규장각이 혁파되면서 빈 전각이 되었고, 이후 일제강점기 당시 다른 내각의 전각들과 함께 훼철되었다가 해방 후 1991년 복원 공사를 거쳐 2005년 일반에 개방되었다. 봉모당(奉謨堂), 규장각과 검서청 뒤쪽에 자리잡은 정면 5칸, 측면 3..
더보기
보물 제1769호 창덕궁 주합루(사정기비각, 영화당, 천석정, 희우정, 서향각)
영화당은 왕과 신하들이 연회를 베풀거나 활을 쏘기도 한 정원이었는데, 정조 때부터 과거 시험장으로 이용하였다. 왕이 참석한 가운데 시관이 자리하여 시제를 내리고, 초시에 합격한 응시자들이 마지막 시험을 치른 곳이다. 사정기비각, 사정기비각은 창덕궁 후원의 연못 부용지(芙蓉池) 서쪽 물가에 있는 비각이다. 비각으로 보호되어 있는 비(碑)에는 부용지를 만들게 된 배경과 과정이 새겨져있다. 현재 위치는 옛날 술성각이 있던 자리로, 숙종 16년(1690)에 세워졌다. 서향각, 서향각은 주합루 아래층인 규장각의 부속건물로 어진과 어제, 어필을 옮겨와 서책을 볕에 쬐고 바람에 쐬는 일을 하던 곳이었다. 희우정, 희우정은 서향각 북쪽의 작은 정자이다. 건립할 당시에는 취향정(醉香亭)이라고 하는 초당이었으나 1690(..
더보기